한국의 꽃

독초

깊은숲으로 2018. 5. 30. 10:22

독성식물 (독초)

     을 지닌 풀,   독의 정도와 종류에 따라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거나, 반 병신을 만들거나 심하면 죽게 만드는 식물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원예종을 포함하여, 이러한 식물족속들이 독을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고사리과  : 고사리, 고비
  • 대극과  :  대극, 아주까리, 다육 유포르비아
  • 가지과  : 감자(파란 부분), 토마토(잎과 줄기), 미치광이풀, 엔젤 트럼펫, 독말풀[1], 까마중, 꽈리, 담배
  • 양귀비과  :  양귀비, 애기똥풀, 매미꽃, 괴불주머니
  • 봉선화과  :  봉선화, 물봉선, 노랑물봉선
  • 옻나무과  :  옻나무, 덩굴옻나무, 개옻나무, 붉나무
  • 천남성과  :  천남성, 디펜바키아, 앉은부채
  • 국화과  :  동의나물, 다알리아, 쑥[2], 도꼬마리
  • 콩과  :  해녀콩, 등, 스위트피, 실거리나무, 고삼
  • 협죽도과  :  협죽도, 마삭줄, 박주가리
  • 수선화과  :  수선화, 문주란, 꽃무릇, 샤프란
  • 나리과  :  박새, 반하, 삿갓나물, 은방울꽃
  • 산형과  :  독미나리, 지리강활(개당귀), 개발나물
  • 미나리아재비과  :  미나리아재비, 복수초, 백부자, 요강나물, 모데미풀, 진범, 젓가락나물, 할미밀망, 사위질빵, 투구꽃[3], 할미꽃 
     묵나물이라고 해서 말리거나 흐르는 물에 며칠이고 씻어서 나물로 해 먹는 독초도 있긴 하지만 이런 방법으로도 안 통하는 맹독성 독초도 있다.

     그러나 사람의 생리작용을 크게 변화시킬 정도의 약리작용이라면 사람의 병을 낫게 할 수 있다는 뜻이 되기도 하므로

     독성이 크게 나타나지 않을 정도로 희석하여 약재로 사용한다.

 

      독초를 구별하는  일반적인 방법 

             1.소가 먹을수 있는 풀이면 독초가  아닐 가능성이 많다.

             2.벌레먹지 않는 풀은 독초일 가능성이 많다.

             3.독초는 생김새가 화려하고 색상이 유난히도 화려하고 독액을 지니고 있다.

             4. 식물에 상처를 냈을 때 유즙(乳汁)이 나오는 식물은 독초일  가능성이 많으므로 일단  의심하고 봐야한다.

      위 방법은 일반적으로  그렇다는 것이지  다 그런것은 아니므로  주의해야 한다.

      벌레가  먹었다고  다  식용이라고 생각하면 앙된다  어떤 벌레는  독초도 먹기 때문이다.

 

      독초를 섭취했을 경우의 응급처치 
             독초를 잘못 먹어서 중독되면 설사, 복통, 구토, 현기증, 경련, 호흡곤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이때는   응급처치로서  입안에 손가락을 넣어 위안의 내용물을 다 토해내게 하고 따뜻한 물이나 진한 녹차를 먹이고는 의사에게 보이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독성이 약한 것은 며칠 쉬면 회복되지만 그렇다고 중독되었을 때 섣불리 판단하여 가벼이 여기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나물’이라는 이름이 붙은 식물 중에 독초가 있다.

             ‘개발나물’, ‘대나물’, ‘동의나물’, ‘삿갓나물’, ‘요강나물’, ‘젓가락나물’, ‘피나물’ 등은 ‘나물’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독성이 있어 먹을 수 없는 식물이다.

             그 중에서도 ‘동의나물’, ‘삿갓나물’, ‘요강나물’은 맹독성 식물로 분류된다.

             이러한 식물들을 섭취했을 경우 구토와 발진 설사, 복통, 구토, 현기증, 경련, 호흡곤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심하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      우리나라 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독초 
             미치광이풀, 앉은부채, 박새풀, 천남성, 동의나물, 초오(투구꽃), 은방울꽃, 현호색, 애기똥풀,금낭화 . 갯메꽃. 개감수. 개당귀. 큰꽃으아리 .
  너삼.  독말풀. 

             두루미천남성.  대극.  미나리 아재비. 만병초.  반하.  부처손,  복수초.  박새풀.  석산.  석류목.  속새.  승마.  산초나무. 숫잔대 .  상사화.  은방울꽃.  여로. 

             애기똥풀.  위령선.  우단답배풀.  옻나무.  여뀌. 진범. 자리공. 지리강활.  주목.  접시꽃.제충국 . 초호.  초롱꽃.  천남성.  참죽나무.  피마자. 파리풀.  택사. 

             흰꽃이질풀.  현호색등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독말풀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초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진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숫잔대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미나리아재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감수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여로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자리공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상사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천남성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반하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애기똥풀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갯메꽃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두루미천남성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대극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리강활(개당귀)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할미꽃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생화 (비금계곡 땅끝 달마산)  (0) 2015.04.13
선인장  (0) 2010.11.08
동백꽃  (0) 2010.10.11
[스크랩] 개석송  (0) 2010.05.15
[스크랩] 개쑥부쟁이  (0) 2010.05.15